예로부터 선조들은 일상에서 사용하는 물건을 싸거나 덮어서 보호하고, 운반하기 위한 실용적인 용도로 보자기褓를 사용했다. 그리고 관혼상제와 같은 의례 시 물품을 포장하기 위해 격식을 갖춘 보자기를 제작해서 예의와 정성을 표현하기도 했다. 보자기는 궁중에서 사용한 궁보宮褓부터 민간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던 민보民褓까지 모든 계층에서 애용되었다. 무명이나 모시, 삼베와 같은 소박한 직물이나 색색의 화려한 비단을 이용해 만든 보자기는 소재의 유연함으로 의복, 장신구, 식기, 함, 서책 등 의식주와 관련된 물품을 관리하는데 용이해서 실생활에 두루 활용되었다. 일반적인 보자기는 직물 한 겹이나 두 겹으로 짓고, 솜을 넣거나 누비로 제작하는데,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만들고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끈을 달았다. 혼례용 보자기는 일상용 보자기와 달리 절차에 맞추어 화려한 색과 자수 장식을 더 해 정성스럽게 만들어 행복을 바라는 마음을 담았고, 의례의 품격을 높이는 역할을 했다. 최고급 소재에 화려한 색과 문양이 더해진 궁보는 민간의 보자기와 확연히 구별된다. 특히, 직물의 온 폭을 그대로 사용해서 필요에 따라 여러 폭을 이어 붙여서 만드는 궁보와 달리, 옷감이 귀한 민간에서는 자투리 옷감을 모아서 만든 조각보를 많이 만들었다. 작은 조각도 소중하게 여기며 활용했던 당시 여성들의 절약 정신을 엿볼 수 있으며, 각양각색各樣各色의 직물 조각을 배열하고 색을 맞추어 한 장의 보자기를 만드는 과정 중에 각자의 솜씨가 더해져 특별한 보자기가 완성되었다. 삼국시대 문헌에서 확인된 붉은색 보자기에 대한 기록과 현재 남아있는 수많은 보자기 유물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 전통 보자기는 오랜 시간 선조들의 삶에 함께해 온 필수품이었다. 한 땀 한 땀 정성을 들여 바느질하고 수를 놓는 과정에 각자의 바람을 담아낸 보자기는 복을 싸고 담는다는 의미가 더해져 생활 곳곳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근대화 이후 서양으로부터 전래한 가방과 새로운 포장 문화는 다채로웠던 전통 보자기를 대신하게 되었고, 그 쓰임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이번 전시를 통해 점차 사라지고 있는 전통 보자기의 다양한 종류와 용도, 사용법을 살펴보고, 옛 여인들이 보자기에 담아낸 정성 어린 마음과 예술적 감각을 느껴보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 관람시간 *3.19.(수) - 6.28.(토) 화 - 금 11시 - 18시 30분 / 토 12시 - 18시 30분 *7.1.(화) - 8.14.(목) 화 - 금 11시 - 18시 / 네이버 사전 예매 ▶ 관람요금 성인 6,000원 / 대학생 이하 4,000원 / 7세 이하, 65세 이상, 장애인 무료 ▶ 후원 (주)코리아나화장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