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olumn

  • home
  • 학술•연구
  • c-column

전시 히스토리 #21 《re:Sense》: 감각이 지닌 다양한 층위를 감각해보기

  • space*c

#21

re:Sense

2018. 8. 23 – 11. 10

참여작가

박혜수, 전소정

"해석은 예술작품에 대한 감각적 경험을 당연한 것으로 여긴 뒤에, 거기에서부터 시작한다. 지금은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겨서는 안된다.

(중략)

지금 중요한 것은 감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우리는 더 잘 보고, 더 잘 듣고, 더 잘 느끼는 법을 배워야 한다."

수잔 손택, 『해석에 반대한다』 (이민아 옮김, 이후, 2002), 34.



현대 사회의 정보와 물질의 풍요는 우리의 감각 기관을 무디게 만들고 있습니다. 지난 2년 동안 거리두기 지침으로 인해 감각적 경험을 할 기회가 적어짐에 따라 개인적으로 감각적 경험을 하기 위한 노력이 눈에 띄게 늘어났는데요. 많은 사람들이 더위에도 4시간이 넘도록 《MMCA 이건희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명작》과 같은 전시를 기다리는 것은 직접 예술 작품에서 느낄 수 있는 감각적 경험에 목마름을 느끼기 때문이 아닐까요?



"예술은 분노를 경험한 인간의 고통의 울부짖음이다. 그리고 이에 굴복하지 않고 달려드는 것이다. 무관심하게 ‘어둠의 힘’ 에 끌려가는 것이 아니라 이 모든 것이 어떻게 굴러가는지 알기 위해 그 바퀴에 몸을 싣는 것이다. 감정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시선을 돌리고 눈을 감는 것이 아니라 눈을 크게 뜨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하지만 감각만으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을 느끼기 위해, 그리고 세상 밖에만 있는 것 같은 절차를 파악하기 위해 눈을 감는 것이다. 그리고 세상 안에서 예술 작품이라는 울림으로써 이를 표현하는 것이다."

Jelena Hahl-Koch (ed.), John C. Crawford(trans.), 『Arnold Schoenberg/ Wassily Kandinsky: Letters, Pictures and Documents』 (London, Boston: Faber & Faber, 1984), 54.

음악가 아놀드 쇤베르그의 이러한 언급처럼 우리는 감각만으로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예술가가 인지한 감각을 표현한 예술 작품을 통해서 이러한 감각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 들어 높아진 예술 작품과 미술 전시에 대한 관심은 이러한 감각에 대한 갈망이자 MZ 세대의 새로운 유희 방식처럼 느껴집니다.

코리아나미술관은 지난 19년간 ‘신체(body)’ 담론을 중심으로 ‘예술가의 몸’, ‘피부’, ‘헤어’, ‘향’, ‘목소리’ 등을 주목한 심도있는 기획전을 지속적으로 선보여왔습니다. 지난 전시 히스토리에서는 신체에서 발생하는 ‘목소리’에 대해 주목한 《THE VOICE》의 이야기를 살펴보았는데요. 이번 스물한 번째 전시 히스토리에서는 신체를 통해 감각을 되돌아보는 전시 《re:Sense》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개관 15주년 기념으로 열린 이 전시는 코리아나미술관 운영하고 있는 *c-lab 2.0의 주제 “감각±”과 연결하여 미술관의 전시와 연간 프로젝트 간의 연결성과 확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Sojung Jun, <Bouba Kiki>,

《re:Sense》, Installation view at Coreana Museum of Art, 2018.


2017년부터 시작된 코리아나미술관의 *c-lab은 창작자와 기획자, 이론가, 연구자 등 문화예술계 및 연계 영역의 다양한 주체들이 매년 선정된 주제에 대해 함께 사유하기를 위한 플랫폼을 마련하고, 다양한 실천방식을 통해 탐구하고자 하는 연간 프로젝트입니다. 2018년 *c-lab 2.0에서는 “감각±”을 주제로 하여 신체에서 감각되는 담론들부터 기계와 가상의 감각까지 감각이 지닌 다양한 층위를 탐구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c-lab 2.0 감각± 자세히 보기>

특히, 본 전시에서는 신체를 통해 부단히 감각하는 우리의 행위, 감각적 존재로서의 우리 자신을 되돌아보고자 시각예술부터 다원예술까지 폭넓은 영역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박혜수와 전소정 작가를 초청했습니다. 《re:Sense》는 이 두 작가의 장소 특정적 작품을 통해 감각을 다시 사유해 보는 시간을 관람객에게 선사하고자 했습니다.


그럼 전시를 한 번 살펴볼까요?


1. 박혜수, 어느 불안한 밤의 심포니

지하 1층 전시장에 들어서면 c-gallery 전시실 입구에 비스듬히 관람객의 시야를 차단하는 흰 벽과 벽의 오른쪽에 달린 나팔에 매달린 흰색의 베개 커버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베개 커버에는 “H.E.L.P”라는 글이 수놓아져 있었는데요. c-gallery 전시장 안에는 박혜수의 <H.E.L.P>가, c-gallery의 왼쪽 복도 편에는 <굿나잇, 에브리바디>가 설치되었습니다.

Hyesoo Park, <H.E.L.P>,

《re:Sense》, Installation view at Coreana Museum of Art, 2018.

비스듬하게 열린 구조를 따라 전시장 안으로 들어가면 천장에서부터 안쪽 바닥까지 쏟아져 내리는 수많은 검은 필름 선들과 아래에서 새어나오는 빛이 필름에 반사되어 일렁이는 빛이 눈에 들어옵니다.

Hyesoo Park, <H.E.L.P>,

《re:Sense》, Installation view at Coreana Museum of Art, 2018.

필름 선 아래의 전시 공간에는 4개의 침대가 놓였는데, 관람객은 이 침대 위에 앉거나 누워서 공간의 감각을 느껴볼 수 있었습니다. 가만히 누워 있으면 무언가 소리가 들려왔는데, 이는 500개의 시계가 모여서 만들어내는 초침 소리였습니다. 이 소리는 우리에게 공간을 다시 한번 청각감으로 감각하도록 해 주었습니다.

Hyesoo Park, <H.E.L.P>,

《re:Sense》, Installation view at Coreana Museum of Art, 2018.

<H.E.L.P>는 시각감과 청각감을 동시에 선사하며 작가 본인이 경험한 ‘불면증’이라는 일상적 소재를 미술관 공간에 번역해 낸 작품입니다. 이 작업은 2016년 작가의 개인전에서 처음 발표되었던 작업을 코리아나미술관 공간에 맞추어 확장하고 발전시킨 것으로 작가가 느꼈던 모든 감각이 예민하고 계속해서 겉도는 상태인 불면의 감각적 상태를 공유하고자 했습니다. 박혜수 작가는 이 작업에 임할 때, 영화 <그랑 블루>에서 주인공 자크가 자신의 방 침대에 누워 일렁이는 파도가 천장을 덮는 장면을 떠올렸다고 합니다. 이 작품은 영화 속 장면을 이해하기 위한 감각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또한 이 작품 공간에서는 전시 중 <WHITE OUT>이라는 퍼포먼스가 진행되었습니다. ‘화이트 아웃(백시현상)’은 눈이 많이 내려서 모든 것이 하얗게 보이고 원근감이 없어지는 상태로, 표면과 공간과의 경계를 구분하기가 어려워 방향 감각을 잃는 상태를 말합니다. 화이트 아웃은 불면증을 겪는 사람들의 고통의 밤에서 시작되고, 불면증은 어둠과 밝음, 침묵과 소음의 사이에서 사람의 감각을 둔하거나 예민하게 만듭니다. 이 퍼포먼스는 감각이 혼재된 전시 공간에서 불면의 감각을 몸짓으로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Hyesoo Park, <WHITE OUT>, performance (안무ㆍ움직임: 손지민ㅣ사운드: 정승완),

《re:Sense》, Installation view at Coreana Museum of Art, 2018.

박혜수는 삶 속에서 포착한 시간의 개념과 감정의 경험을 가시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우리를 둘러싼 환경들을 관찰하고, 면밀한 조사와 채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진행합니다. 작가는 이러한 경험을 가시화하기 위해 설문 조사의 형식을 작업의 영역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Hyesoo Park, <Goodnight, Everybody [Survey]>,

《re:Sense》, Installation view at Coreana Museum of Art, 2018.

본 전시에서는 정신과 의사의 자문을 받아 관람객을 대상으로 한 ‘잠(수면)’에 대한 설문 조사 작업인 <굿나잇, 에브리바디>를 선보였습니다. 관람객은 c-gallery를 나와 왼쪽 복도에서 이 작업을 만나 활동 상태 중 깨어 있음의 정도를 7단계(“꿈 같은 생각을 가짐”, “다소 몽롱함”, “활동적·생기가 넘치거나 완전히 깨 있음” 등)중 선택합니다. 몇 단계를 거치면, ‘잠’에 대한 정의를 한 단어로 표현하는 주관식 응답으로 마무리를 하게 됩니다. 이 작업은 다른 이들의 답변을 보고 나의 답변을 하게 되는 상황을 통해 타인과의 어떤 공유를 시도하고자 합니다.

박혜수 작가는 이듬해 《올해의 작가상 2019》에서 ‘우리’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는 <설문 보고서 ‘당신의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작업을 진행했고, ‘2022 파라다이스 아트랩 페스티벌’에서 <휴먼렌탈서비스>를 진행하는 등 예술 작품을 통해 우리 삶 속의 가까이에 있는 감각들을 깨우고 이를 시각적으로 가시화하는 작업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2. 전소정, 이치에 맞는 착란으로 펼쳐진 감각들

이어서 c-cube로 내려가면 공간 디자이너 듀오인 힐긋(선보성, 이창석)과 협업한 전소정 작가의 <부바 키키 Bouba Kiki>가 설치되었습니다. 메쉬 천으로 구성된 반투명한 스크린이 높은 천장으로부터 내려와 전시 공간을 곡선을 그리며 가로 질렀고, 이를 통해 스크린의 앞의 세계와 뒷편의 세계는 연결되면서도 분리되었습니다. 영상의 이미지는 벽이나 바닥에 투사되었고, 반복적으로 들리는 피아노 소리는 공간으로 침투하며 시각감과 청각감을 동시에 자극했습니다.

Sojung Jun, <Bouba Kiki>,

《re:Sense》, Installation view at Coreana Museum of Art, 2018.

스크린을 따라 걸어가면 천장부터 바닥까지 길게 늘어진 검은색의 커튼이 자리했습니다. 커튼 사이로 새어나오는 빛은 커튼의 윤곽선을 강조하고 털이 선 커튼을 촉감을 드러냅니다. 커튼 안 반원의 공간에는 5점의 드로잉이 벽에 설치되었는데요. 이 드로잉은 이 전시 공간을 구성하는데 모티브가 되었던 작업이었습니다.

Sojung Jun, <Metaphysical dissection>, pencil on paper, 2017, Courtesy of the artist.

전소정은 2016년 바르셀로나를 방문했을 때, 같이 작업을 하게 된 맹인 무용수의 제안으로 눈을 가린 채 막대를 붙들고 도시를 더듬어가며 걸어보았습니다. ‘시각’에 익숙한 작가에게 ‘시각’을 의도적으로 배제하여 걷는 경험은 다른 감각을 일깨우며, 외부 세계의 감각적 자극에 집중해 보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앞이 보이지 않는다는 공포감에 휩싸였지만, 이후 도시의 냄새와 소리가 느껴졌고, 막대기의 끝에서 작가의 손끝으로 전달되는 촉각적 느낌이 극대화되었죠. 작가는 이 촉각적 경험을 종이에 연필로 남겼고, 이 작업이 전시에 설치된 드로잉 5점입니다.

Sojung Jun, <Bouba Kiki>,

《re:Sense》, Installation view at Coreana Museum of Art, 2018.

작가는 드로잉으로 번역된 촉각적 경험을 공간 안으로 재번역하기 위해 공간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시도했습니다. 슈퍼 미러, 매쉬 천, 도로의 경계석, 금속 책장, 나무 합판 등 각기 다른 물질을 통해 파편화된 감각을 공간 속에 재배열하고자 했습니다. 관람객은 공간 디자인을 따라 시선을 움직이면서 공간 속 자신의 위치 감각을 느껴볼 수 있었습니다.


Sojung Jun, <Bouba Kiki>,

《re:Sense》, Installation view at Coreana Museum of Art, 2018.

<부바 키키 Bouba Kiki>는 전소정이 지난 몇 년 동안 발전시켜온 공감각에 대한 연구와 단상들을 영상, 드로잉, 설치를 통해 공간 플랫폼이자 다양한 층위들이 교차하는 무대로 구성한 것입니다. ‘부바 키키’는 신경과학자인 라마찬드란 Ramachandran 박사가 진행했던 소리와 모양을 연결하는 공감각 실험으로부터 가져온 것으로 이번 전시에서 출간된 책에도 같은 제목을 명명했습니다.

Sojung Jun, <Bouba Kiki>,

《re:Sense》, Installation view at Coreana Museum of Art, 2018.

『부바 키키: 공감각에 관한 단상』에는 큐레이터 안소현과 파리에서 쇤베르그에 관한 전시를 기획한 파니 슐만과 작가가 주고 받은 편지 형식의 대화와 프로젝트 전체와 감각에 대한 작가의 음악적, 미술사적 레퍼런스 리서치가 풍부하게 담겨 있습니다.


전소정, 안소현, 파니 슐만, 『부바 키키: 공감각에 관한 단상』 (미디어버스, 2018), Courtesy of the artist.

<부바 키키> 프로젝트는 2014년에 작가가 작업했던 <열두 개의 방>을 출발점으로 하고 있는데요. 이번 전시에서는 반투명 스크린에서 상영되었습니다. <열두 개의 방>은 피아노 조율사에 대한 이야기로 조율사가 만들어내는 반복적인 듯 들리는 소리를 수집해서 미디 프로그램을 통해 연주곡을 만들고, 그 소리에 색을 부여한 영상 작업입니다. 관객은 작가가 구성한 무대 안에서 감각의 교차 가운데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불협화음을 감각으로 받아들이고 동시에 이를 해석하는 또 다른 주체가 됩니다.

작가는 이 영상을 제작하면서 색과 음의 관계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것은 칸딘스키와 쇤베르그가 주고 받은 편지에 대한 리서치로, 공감각에 대한 관심의 발단이 되었습니다. 전소정은 공감각이란 특수하고 개별적인 경험을 어떻게 타인과 공유할 수 있는지에 대해 질문을 제기하며 탐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전소정. <열두 개의 방>, 싱글채널 비디오, 7분 35초, 2014, Courtesy of the artist.


《re:Sense》에 참여한 박혜수와 전소정은 감각을 작업으로 번역하고, 전시 공간을 관람객들이 직접 몸을 통해 감각할 수 있는 무대의 공간으로 구성했습니다. 전시는 무심코 우리가 지나쳤던 일상의 감각을 다시 일깨우며, 감각적 존재로서 우리를 바라보게 하고자 했습니다. 예술 작품을 보고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감각의 층위를 직접 감각해보는 것 말입니다.

에키라 피셔-리히테는 『수행성의 미학』에서 예술가들의 행위, 퍼포먼스, 실체를 비롯한 다양한 공연은 신비하고 예측 불가능한 경험을 불러 일으켰고, 예술가들은 스스로 변화 과정에 존재하며 경계선을 넘는 존재로 인식했다고 언급했습니다. 또한 자기 자신 및 세계와 새로운 관계를 맺어야 하며 이는 삶 속에서 수행되어야 한다고 했는데요. 전시에 참여한 두 작가는 전시장을 새로운 무대로 구현하며 우리의 삶 속에서 예술가의 세계와 외부의 세계의 새로운 관계를 맺으며 수행적인 태도를 보여주었습니다.

코리아나미술관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예술가의 세계와 외부의 세계가 새로운 관계를 맺고 감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2년 7월 8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되는 *c-lab 6.0의 홍이현숙 작가의 프로젝트는 이러한 감각의 층위를 직접 감각해보는 집체 퍼포먼스입니다.


<부바 키키>에서 전소정 작가가 바르셀로나에서 시각을 배제한 채 경험한 도시를 공감각적으로 표현한 것처럼, 홍이현숙의 <12m 아래, 종(種)들의 스펙터클>은 암흑 속에서 시각이 아닌 다른 감각들을 통해 이종의 다양성을 감지하고 서로의 존재를 재연결하는 관객 참여 퍼포먼스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올해 코리아나미술관의 *c-lab 6.0은 ‘공진화’를 주제로 우리가 잃어버린 감각을 들여다보고, 우리가 당면한 생태적 문제를 몸의 감각과 예술의 경험으로 해석하려고 시도합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코리아나미술관의 행보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c-lab 6.0 프로젝트 X 홍이현숙 네이버 예매 바로가기

글 작성 및 정리_코리아나미술관 학예팀/ 심연정

©코리아나미술관, 2022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참고 자료

코리아나미술관, 『re:Sense』 (코리아나미술관, 2018)

전소정, 안소현, 파니 슐만, 『부바 키키: 공감각에 관한 단상』 (미디어버스, 2018)

수잔 손택, 『해석에 반대한다』 (이민아 옮김, 이후, 2002)

에키라 피셔-리히테, 『수행성의 미학』 (문학과 지성사, 2017)

Jelena Hahl-Koch (ed.), John C. Crawford(trans.), Arnold Schoenberg/ Wassily Kandinsky: Letters, Pictures and Documents (London, Boston: Faber & Faber, 1984)

박혜수 작가 홈페이지 Home (phsoo.com)


top
코리아나 화장박물관 <한국의 화장문화> 상설전시 관람 안내


 운영시간 : 화 - 금  /  11시 - 6시  /  네이버 사전 예매

 단체 관람 시 사전 연락(02-547-9177) 바랍니다.

 12:00 - 14:00는 휴게 시간으로 전시 관람이 불가합니다.


  전시 예매 바로가기